맞춤찬양 상품

1)찬양의 중요성과 문제점

가. 찬양대의 중요성
찬양대의 중요성은 하나님께서 가장 기뻐하시는 찬양을 드리는 구별된(레위지파소속)기관이기 때문이다. 또한 찬양으로 말씀을 선포하는 메신저이기 때문이다. 최상의 찬양을 드릴 수 있는, 잘 조직된 기관은 찬양대일 것이다. 철저한 사전준비와 헌신예배, 세미나(영적, 음악적)를 통해서 찬양대의 사명을 잘 이해하고 감당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나. 문제점
본인은 찬양대 세미나, 헌신예배 강사로 국내외를 다니면서 큰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찬양대에서 젊은 대원을 만나보기란 점점 어렵다는 것이다. 3-40대를 젊은 세대라 부르고, 보통 5-70대로 찬양대가 구성된 것을 많이 보아왔다. 앞으로 몇 년 못가서 노인들로만 구성된 찬양대가 될 것 같다는 위기감을 느낀다. 왜 젊은이들이 찬양대에 들어오기를 싫어할까! 문제점들을 알아본다.

1.요즘 경배와 찬양시간, 또는 초, 중고, 청년들의 집회에서는 찬송가보다 주로 CCM(가사만 있는 스크린)을 많이 부른다. 그러다보니 악보를 읽을 줄 모르는 젊은 층들이 많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4파트를 사용하며 찬양드리는 찬양대에 들어오기에는 큰 부담이 될 것이다.

2. 시끄러운 전자악기소리와 단 선율(코드중심)로 된 CCM중심의 빠르고 감성적인 노래에 너무 익숙해져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은 정확한 악보 읽기와 음악성이 요구되는 찬양대에 들어오기에는 큰 부담이 될 것이다.

3. 초, 중고, 청년 찬양대가 사라져가고, 찬송가를 모르는 젊은 층들이 많아지고 있다. 어릴때부터 기초적인 악보읽기와 합창에 대한 인식의 부족으로 인해 찬양대에 들어오기에는 큰 부담이 될 것이다.

다. 찬양단 찬양의 중요성
찬양단의 중요성은 회중들과 함께 찬양드릴 수 있기 때문이다.
* 목회자, 찬양인도자들이 찬양을 잘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 찬양 드리기에 합당한 곡의 선택이 중요하다.
* 합당한 연주(악기소리와 인도자들의 마이크소리의 크기, 적당한 빠르기)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 회중들이 곡의 내용을 잘 이해하고 동참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대부분 그렇지 못한 경우가 많다. 회중이 함께 잘 부를 수 있도록 하는 일은, 목회자! 찬양인도자! 찬양대 지휘자! 들의 책임과 역할이 크다.

라. 찬양단 인도자들이 주의해야 될 점
CCM중에도 하나님께 찬양 드리기에 함당하고 은혜가 넘치는 곡들도 많이 있다. 그러나 교회에서 부르기에 합당하지 못한 곡들도 많이 있음을 숙지해야 된다. 찬양인도자들은 합당한 곡의 선택과 합당한 연주를 통해서, 하나님께 영과돌리는 지혜로운 찬양인도자들이 되도록 노력해야 될 것이다.

1. 잘 살펴보아야 할 점
* 찬양시간에 회중들과 함께부르기에 합당한 곡인지!
=가사와 곡이 찬양시간에 부르기에 합당한지!
* 곡의 내용을 성도들이 이해하고, 다 같이 부를 수 있겠는지!
=잘 모르는 곡이라서 회중들은 중언부언하고 인도자들만 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 속도가 너무 빠르지는 않는지!
=찬양부르는 속도가 너무 빨라서 회중들이 못 따라하면 짜증스럽고 부르기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다.
* 악기소리와 인도자들의 마이크소리가 너무 크지는 않는지!
=회중찬양 드리는 장소가 마치 락음악 콘서트장을 방불케 하는 경우를 많이 보았다.
* 신령과 진정은 약화되고 열정만 충만하지는 않는지!
=신령과 진정이 아닌 찬양은 울리는 꽹과리라 하였다.
#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찬양)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찬양) 할지니라. - 요4:24

가장 좋은 회중 찬양곡은 찬송가다. 찬송가 중심으로 찬양하도록 노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회중들이 가장 많이 알고 있고, 검증된 곡이기 때문이다. 찬송가와 가스펠 CCM을 잘 조화시켜서 하는 지혜가 필요하다. 필자는 신/구세대의 차원이나, 전통과 현대의 관점에서 보는 것이 아니라 이와 같은 곡과 연주르 통해서 어떤 현상들이 일어나고 있음을 알고 할 수만 있다면 하나님께서 원하시는 찬양을 드릴 수 있기를 바라는 관점에서 설명하는 것이다.

2. 찬양 인도자들이 회중 찬양을 방해하는 경우가 많다.
찬양 인도자들은 회중들이 다 함께 찬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인도해주는 역할이 가장 우선이다. 잘 인도하면 은혜롭고 좋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더 많다. 이는 적극적인 참여를 거부하게 만들고, 구경꾼으로 전락하게 만든다.
찬양 인도자들이 회중을 도와주는 것이 아니라 찬양을 방해하는 결과가 될 수도 있다. 이런 연주형태는 락음악을 비롯하여 세속음악 연주장에서 도용된 연주 기법에서 온 것이다. 이와 같은 연주가 난무함으로 성령에 지배받기 보다는 말초신경을 자극하여 그것을 마치 은혜로 착각하게 되는 경우가 많다.

2)찬양대를 약화시키는 교회는 즉시 회복해야 된다.

하나님께서 가장 기뻐하시는 찬양을 드리는 찬양대를 무시하고, 찬양단만으로 열린 예배를 드리는 교회가 있다. 이는 영적인 예배와 찬양을 무시하고 사람들만 많이 모으겠다는 세속적인 교회, Willow Creek.을 모방한 목회자들의 잘못된 욕심에서 비롯된 결과다.
* 하나님의 뜻을 모르는 무지에서 온 것이다.
* 하나님께 큰 잘못을 하고 있다.
* 즉시 회개하고 회복해야 된다.
# 경건의 모양은 있으나 경건의 능력은 부인하는 자니 이 같은 자들에게서 네가 돌아서라 - 딤후 3:5

*세속음악과 연주 기법을 도입한 Willow Creek Community Church는 하나님의 뜻은 무시하고 세속음악과 연주기법을 교회예배에 도입하여 교회성장을 이룬 Willow Creek.은 철저한 인본주의에 의해 탄생된 세속적인 교회이다.
* 신령과 진정이 없는 구도자 예배는 실패한 집회다.
* 찬양대가 없는 열린 예배는 하나님의 뜻을 모르는 무지의 결과다.

3)대책

* 교회적인 대책이 필요하다. (목회자, 당회, 찬양대 지휘자, 찬양단 인도자, 음악부 부장 등)
* 신학교에서 신학생들에게 교육시키도록 학과를 만들어야 된다.
* 초, 중고등부, 청년부 세미나를 통해서 교육시켜야 된다.
* 찬양대의 중요성과 바른 인식을 교육시켜야 된다.
* 축복은 올바른 찬양으로부터 온다는 성경적인 교육이 필요하다.
* 전교인 찬양세미나, 헌신예배를 통해서 목회자, 당회원, 교회 지도자들에게 올바른 찬양의 중요성을 알려야 된다.
* 찬양대 중심으로 기도하며 찬양의 바른 인식을 알려나가야 된다.

기도하며 대책을 세우지 않으면 찬양대는 점점 약화되어 찬양의 기능을 상실 할 수도 있다. 그것이 바로 사탄의 전략이다.

강사 정병철 장로

본 내용은 2009. 7. 27-29 한국교회100주년 기념관에서 열린 지휘자, 반주자 세미나 -Seaching Festival에서 강의 한 내용 중, 찬양대, 찬양단의 중요성과 문제점만 발췌하여 올린 내용이다.